본문 바로가기
이것저것

파이 코인 얻기

by 큐브릭스 2025. 3. 31.
반응형

파이코인은 2019년 3월 14일 날 만들어져 개인 핸드폰으로 채굴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코인입니다.
2025년 2월 20일 날 OKX와 Bitget 거래소에 첫 상장되었습니다.
현재 코인을 채굴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직접 구매하거나 팔 수 있습니다.
파이코인이 0.6달러일 때, 10만 원이면 110개 정도 구매 가능합니다
 
현재 가격대가 높은 코인들은 상장 시 한동안 가격이 낮다가 어느 순간 폭등을 하곤 했습니다.
파이코인도 마찬가지라 봅니다.
 
저는 핸드폰이 두 개라 둘 다 채굴했었습니다.
파이코인은 1인당 1 계정이 원칙입니다.
이것을 모르고 두 개 다 저로 KYC 인증을 하는 바람에 결국 하나는 삭제했습니다.
저같이 두 개 하시면 하나는 가족에게 인증을 양보하세요.
실수로라도 두 개를 인증하시면 둘 다 못쓰실 수도 있습니다.

핸드폰으로 한번 클릭만으로 24시간 동안 자동으로 채굴이 됩니다.
채굴 시 핸드폰을 꺼도 상관없습니다.
24시간이 지나면 멈추므로 다시 채굴 버튼을 눌러주셔야 합니다.
핸드폰 배터리나 성능을 전혀 잡아먹지 않습니다.

파이코인도 코인인지라 시간이 지날수록 채굴률이 감소합니다.
채굴을 빨리 시작할수록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.
얻은 코인을 거래하기 위해서는 KYC 인증을 마치고 최종 마이그레이션이 되어야 합니다.
 
빠르면 한 달 30번 채굴버튼을 클릭하면 KYC 신청이 가능합니다.
KYC 인증이 통과 시 마이그레이션이 되며, 마이그레이션 된 파이코인은 지갑에 받을 수 있으며 거래소에서 매매가 가능합니다.
 
락업 설정 시 최소 2주 최대 3년간 얻는 파이코인의 거래를 할 수 없습니다.
그 대신 채굴 시 매시간 채굴 증가율이 올라갑니다.
락업을 3년 잡아야 속도가 빨라지니 3년 동안 꾸준히 모아주세요.
3년 뒤 여러분들 재산이 늘어납니다.
 

4월10일 저의 채굴 상태




 
저는 메인넷으로 전송 가능한 양은 약 2000개이지만 아직 인증 전입니다. 전에 마이그레이션 되었다가 리턴 당했습니다.

2025년 4월 10일 시간당 채굴량 0.1102 파이
0.1105 x 24 = 하루 2.6448 개
0.1105 x 24 x 30 = 30일 79.344 개
0.1105 x 24  x 365 = 1년 952.128 개

2025년 4월 30일 시간당 채굴량 0.1398 파이
0.1398 x 24 =  하루 3.3552 개
0.1398 x 24 x 30 = 30일 100.656 개
0.1398 x 24 x 365 = 1년 1224.648 개
 
64 스레드 컴퓨터로 노드를 계속 돌린 결과 20일 만에 시간당 채굴량은 0.0294 증가하였습니다.
노드 점수는 20일 만에 2.32에서 3.51점으로 1.19점이 증가하였습니다.

노드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노드점수가 매일 조금씩 올라가는 중입니다.
 
2020년 5월에 문자 받고 시작했는데 열심히 하지도 않았고 노드도 모르고 하느라 많이 모으지 못했네요.
 

인베스팅 파이코인 실시간 시세

 

파이노드코리아 사이트

 

기본 사용법

  1. 핸드폰에 앱 다운로드 및 계정 생성
    • 공식 앱스토어(iOS) 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(안드로이드)에서 "Pi Network" 앱을 다운로드합니다.
    • 페이스북 계정이나 전화번호로 가입합니다.
    • 초대 코드에 sonicvox 입력합니다.
  2. 채굴(마이닝) 시작
    • 앱을 열고 화면 중앙의 번개 모양 버튼을 탭 하여 24시간 동안 채굴을 시작합니다.
    • 24시간마다 버튼을 다시 탭 해야 채굴이 계속됩니다.
  3. 보안 서클 구축
    • 신뢰할 수 있는 지인들을 자신의 초대코드로 초대합니다.
    • 보안 서클은 네트워크 신뢰성을 강화하고 채굴 속도를 높입니다.
  4. 역할 선택과 점수 높이는 법
    • 파이오니어(기본): 일일 체크인으로 24시간마다 눌러서 채굴
    • 컨트리뷰터: 보안 서클을 구축하고 관리 (5명 추가 시 100% 보안 서클 형성)
    • 노드: 컴퓨터로 Pi 노드를 운영(컴퓨터를 오래 켜둘수록 점수 올라감)
    • 락업 비율을 높이면 리워드 점수 올라감
  5. KYC(본인인증) 완료
    • 메인넷 이전에 신원 확인을 위한 KYC 과정을 완료해야 합니다.
    • 신분증 및 얼굴 인증이 필요합니다.
  6. 파이 브라우저 사용
    • 앱 내 Pi 브라우저를 통해 Pi 생태계의 앱을 탐색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24시간마다 꾸준한 파이 유틸리티 탐색으로 유틸리티 사용 보너스 점수 높이기 가능

 

노드 운영 방법

  1. 파이 노드 소프트웨어를 데스크톱 컴퓨터에 다운로드 및 설치
  2. 모바일 앱 계정과 노드를 연결
  3. 도커 데스크톱 다운로드 및 설치
  4. 노드 설정 구성 및 시작
  5. 1년 365일 내내 컴퓨터 끄지 않고 켜두기


노드 컴퓨터는 cpu와 스레드의 숫자가 많고 빠를수록 유리하며, 아직까지는 32 코어 64 스레드가 가능한 최고 사양이라 합니다.
처음 시작 시 노드점수는 1.2 점 정도부터 시작하여 오래 켜둘수록 점차 올라갑니다.
 

저의 노드 컴퓨터 사양과 점수

정확히 기억이 안 나는데 처음 2주간(?)은 4590T(4 코어 4 스레드) 컴퓨터로 도커 설치 안 하고 포트 오픈 없이 했습니다.
뒤에 3월 30일 날 5825U(8 코어 16 스레드)로 교체하였습니다.
 
GMKtec M5 Plus 라이젠 7 5825U 미니 PC
SSD 1,000기가, 메모리 16기가
 
4590T는 어머니 계정 노드로 3일 되었습니다.
4590T는 하이퍼 스레딩 미지원으로 도커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지만 그래도 노드 점수는 나옵니다.
둘 다 어느 점수까지 올라가는지 매일 기록해 보겠습니다.

4월 6일 날 6283 V4 2개 CPU(32 코어 64 스레드) SSD 1,000기가, 램 32기가 컴퓨터로 교체를 하였습니다.
4월 24일 날 와이프 노드로 5825U를 추가하였습니다. 
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5825U     4590T
            CPU             (8ㆍ16)    (4ㆍ4)
2025년 03월 31일 - 1.91 점    1.26 점
2025년 04월 01일 - 1.94 점    1.28 점

더 보려면 클릭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2일 - 1.98 점    1.30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3일 - 2.01 점    1.31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4일 - 2.04 점    1.32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5일 - 2.08 점    못 누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6일 - 2.11 점(-8시간)    1.23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6283 V4   5825U  (둘 다 컴 교체)

            CPU             (32ㆍ64)   (8ㆍ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7일 - 2.14 점     1.35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8일 - 2.23 점     0.82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9일 - 2.22 점     1.42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0일 - 2.32 점     1.46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1일 - 2.37 점     1.49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2일 - 2.44 점(-11시간)    1.52 점(-11시간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3일 - 2.48 점                  1.56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4일 - 1.93 점     1.21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5일 - 2.62 점     1.62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6일 - 2.66 점     1.66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7일 - 2.74 점     1.69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8일 - 2.80 점     1.72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9일 - 2.86 점     1.76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0일 - 2.91 점     1.78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1일 - 2.98 점     1.83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2일 - 3.03 점     1.86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3일 - 3.10 점     1.89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4일 - 3.15 점     1.93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6283 V4   5825U     5825U (설치)

            CPU             (32ㆍ64)   (8ㆍ16)   (8ㆍ16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5일 - 3.22 점     1.96 점      0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6일 - 3.27 점     1.99 점      0.63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7일 - 3.33 점     2.02 점      1.25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8일 - 3.39 점     2.06 점      1.34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9일 - 3.45 점     2.09 점      1.37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30일 - 3.51 점     2.12 점      1.41 점

2025년 05월 01일 - 3.57 점     2.16 점      1.44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2일 - 3.60 점     2.19 점      1.47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3일 - 3.66 점     2.22 점      1.51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4일 - 3.72 점     2.26 점      1.54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5일 - 3.78 점     2.29 점      1.57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6일 - 3.84 점     2.36 점(채굴 클릭 10시간 늦음)       1.61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7일 - 3.89 점     2.39 점      1.64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8일 - 3.96 점(컴퓨터 2일 꺼짐)     2.42 점      1.67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09일 - 4.01 점(블록체인 에러남)  2.42 점      1.71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0일 - 4.07 점(포멧후 재설치)     2.42 점      1.74 점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11일 - 3.98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53 점      1.77 점
이후 점수 기록 보기

2683 V4 컴퓨터는 구형이라 대략 시간당 190w의 전기를 먹습니다.
게다가 유튜브라도 보면 전기를 훨씬 더 먹습니다.
5825U 컴퓨터는 시간당 15w의 전기를 먹습니다.
전기를 적게 먹고 최신 컴퓨터여서 다른 작업은 이 컴퓨터로 합니다.




64 스레드는 노드 점수가 하루에 0.06 정도씩 오릅니다.
16 스레드 컴퓨터는 하루에 0.03 정도씩 오릅니다.

2683 v4 cpu가 두 개 달린 32 코어 64 스레드 컴퓨터를 한 달간 돌려보니 대략 120kw의 전기를 먹겠네요.
평소 한 달에 300kw 넘게 쓰시는 분들은 누진세로 대략 25,000원 돈 추가로 나옵니다.
전기세 아끼시려면 5825U로 가세요.
대신 노드점수가 느리게 올라갑니다.
아마 최고점수도 낮겠지요.

제 컴퓨터의 노드점수는 이글에 매일 기록하겠습니다.

반응형

댓글